‘허리디스크’라는 용어는 익숙해도 정확한 원인과 기전을 제대로 아는 경우는 드뭅니다. 오늘은 허리디스크의 원인과 비수술 치료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허리디스크, 왜 발생할까?
허리디스크는 의학적으로 요추 추간판 탈출증이라고 불립니다. 척추뼈 사이에는 충격을 흡수하는 추간판(디스크)이 존재하는데, 이 조직이 과도한 압력을 받아 손상되면 제자리에서 밀려나와 주변 신경을 압박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통증, 저림, 다리로 내려가는 방사통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허리디스크의 주요 원인은 일상 속의 잘못된 습관입니다. 구부정한 자세로 장시간 앉아 있으면 디스크에 지속적인 압력이 가해집니다. 무거운 물건을 잘못된 자세로 들어 올리는 경우에도 디스크 손상이 가속화됩니다. 나이가 들면서 디스크의 탄력이 감소하는 것도 원인 중 하나이며, 체중 증가나 허리 근육 약화도 디스크에 가해지는 부담을 더욱 키우게 됩니다.
(이하 생략)
출처: 여도현, ]허리디스크, 통증이 심해도 수술이 답은 아닐 수 있다, 하이닥, 25.02.08, https://news.hi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777
허리디스크는 증상에 따라 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지만, 꼭 수술만이 해결책은 아닙니다. 보존적 치료로 재활 운동 등을 통해 통증을 완화하고 기능을 회복할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동의과학대학교 스포츠재활센터에서는 허리디스크 환자를 위해 맞춤형 재활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수술 없이도 통증을 완화하고,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물리치료사 출신의 재활 전문가들이 상주하여 부상의 정도에 따라 적용해야 하는 치료의 프로토콜이 달라지기에 개인의 상태를 정밀하게 분석 및 평가를 진행합니다. 또한, 개인의 근력의 수치화할 수 있는 장비를 통해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하며 근거에 따른 재활을 적용합니다.
개인의 증상에 따라 허리디스크를 경험하는 경우 수술을 고려해볼 수 있지만 보존적 치료를 통해 증상이 완화될 수 있습니다. 수술을 하는 경우, 회복을 위해 재활이 필수적이기에 동의과학대학교 스포츠재활센터에서 꾸준한 재활 운동과 생활 습관 개선을 통해 통증 없는 건강한 허리를 되찾아보세요.